<p></p><br /><br />오늘 뉴스분석은 보도본부 하태원 부장과 함께 합니다. <br> <br>어떤 분석거리를 갖고 오셨습니까. <br><br>오늘의 키워드는 <불편한 진실> 입니다. 북핵문제를 가장 잘 아는, 그리고 영변 핵시설을 제일 많이 가본 미국학자의 눈에 비친 북핵 협상의 민낯을 짚어보겠습니다. <br><br>[질문] 어제 그 미국학자의 강연장에 직접 다녀온 것이지요? 그는 어떤 사람입니까? <br><br>평생 핵문제만 다룬 사람입니다.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핵폭탄을 투하한 맨해튼 프로젝트를 실행했던 로스앨러머스 연구소장을 11년이나 지냈고, 2004년 이후 북한을 7번 방문한 미스터 북핵입니다. <br>2010년 방북 땐 영변핵시설에서 플로토늄이 아닌 우라늄 농축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목격한 외국인이기도 합니다. <br> <br>[질문1-1] 그런데 그 헤커 박사가 의미심장한 말을 했다면서요? <br><br>2004년 이후 매년 방북했던 그가 사실 북한에 이용당한 측면도 있다고 고백한 겁니다. <br><br>[지그프리드 헤커 스탠퍼드대 명예교수 (어제)]<br>“북한에게는 매우 중요한 목표를 내가 수행했습니다. 핵무기를 생산할 능력이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증명하는 역할을 한 겁니다.” <br><br> <br>2010년 이후 북한은 핵실험을 하거나,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를 밥먹듯 했으니 굳이 나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것 같다는 말도 했습니다. <br><br>[질문2] 이번 평양선언에 대해선 어떻게 평가했는지도 궁금하네요? <br> <br>영변핵시설은 현재도 가동중인 만큼 비록 조건부라지만 영구폐기가 이뤄진다면 큰 진전이 될 것이라고 긍정 평가했습니다. <br><br>[질문2-1] 그러면 이번 비핵화 협상의 끝이 결국 해피엔딩으로 끝날 것이라고 보는 건가요? <br><br>협상이 잘 이뤄져도 최소 10년은 걸릴 것이라며 신중론을 펼쳤습니다. 그 과정에서 우리가 꼭 새겨 봐야할 불편한 진실 3가지를 언급했습니다. <br><br>첫째는 2010년 이후 8년간 영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가 완전한 깜깜이 상태라는 점입니다. 그 사이 북한이 영변 우라늄농축시설 같은 새로운 시설을 만들었을 가능성은 물론 핵물질의 이전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. <br><br>더 큰 문제는 숨겨놓으면 아무도 알 수 없다는 대목입니다. 헤커의 결론은 "완전한 핵신고도 완벽한 검증도 불가능하다"는 것입니다. 우리로선 불편한 진실이 아닐 수 없습니다. <br><br>[질문3] 당연한 이야기일 수도 있겠지만 북한핵 문제를 제대로 풀려면 한미동맹 강화가 중요하다는 조언도 했다죠? <br><br>헤커 박사는 지난 1년 동안 치러진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이 북한과 미국사이의 비핵화 대화를 이끌어간 결정적 계기, 즉 게임체인저가 됐다고 평가했습니다. 하지만 진짜 하고 싶었던 말은 이 말이었던 것 같습니다. <br><br>[지그프리드 헤커 스탠퍼드대 명예교수 (어제)] <br>"가장 중요한 것은 한국과 미국이 긴밀하게 협력하면 못할 것이 없습니다. 한미동맹을 강화하는 것이 (북핵문제 해결에) 필수적입니다. <br><br>남북관계 과속이 비핵화에 독이 될 수도 있다는 조언으로 들립니다. <br><br>앵커. 보도본부 하태원 부장이었습니다. <br>